예술15 무용에서의 슬럼프 극단적 연기력 저하를 초래하는 슬럼프는 무용수가 되기 위한 과정에서 피할 수 없는 부분이다. 그리고 교사와 무용수에게 걱정, 혼란을 가져오는 원인이기도 하다. 무용수는 아무런 이유 없이 슬럼프에 빠지기도 한다. 무용 전문가들은 연기력의 저하를 심리적인 원인과 관련짓기도 하는 반면, 신체적인 문제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또한 슬럼프를 어떻게 치유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무용수의 훈련을 좀 더 강화하여 이겨내도록 하든가 일정기간 동안 무용 연습과 공연을 완전히 쉬게 하는 것이 좋다.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던지 슬럼프는 무용수가 거쳐 가는 과정이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기력도 정상 수준으로 되돌아온다는 것이 사실이다. 다만 무용수는 가끔 슬럼프가 지나가기를 기다리는 여유를 가지지 못하는 것이다. 슬럼프란 무엇인가.. 2021. 11. 15. 오페라와 뮤지컬의 차이점 오페라나 뮤지컬은 모든 예술 장르를 포함하는 종합예술극의 형태로 어떤 줄거리를 가지고 전문적인 출연자들이 가사를 노래나 독백으로 전달하며 반주와 극적인 효과음을 음악으로 전달하여 수준 높은 종합예술을 구현한다. 뮤지컬은 오페라에서 파생되어 현대화된 지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부분은 오페라와 흡사하지만 많은 차이점을 지닌다. 그럼 우리가 오페라와 뮤지컬이 차이점을 살펴보기 이전에 오페라와 뮤지컬에 대해 알아보자 오페라 1. 오페라의 역사 16세기 말경 이탈리아 피렌체의 음악 애호가 바르다(G. Bardi, 1534~1562)의 집에 젊은 음악가와 시인들이 모여 새로운 음악을 연구했는데 이 집단을 카메라타(Camerata)라고 불렀다. 1597년에 시인 리눗치니(O. Rinuccini, 1563~1.. 2021. 11. 13. 한국영화의 태동과 발전 그리고 한국영화 열풍3 한국영화의 태동과 시대적 발전 그리고 한국영화 열풍에 대한 내용을 이어가도록 하겠다. 1990년대의 한국영화 1990년대의 중요한 사건은 1993년 문민정부의 출범과 1998년 50년만의 평화적 정권 교체이다. 감시와 통제의 지난 7~80년대 상황 속에서 이런 역사적 사건을 위해 얼마나 많은 이들의 노력이 있었던가. 한국영화계 역시 이러한 변화의 물결 속에서 연례없는 호황을 누릴 수가 있었다. 90년대 중반부터 현실화되기 시작한 대기업의 영화업 진출은 지난 80년대 말 UIP 직배 파문으로 크게 위축되어 있던 한국 영화계에 큰 힘이 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비디오 시장의 호황과 케이블 TV의 등장으로 소프트웨어의 필요성이 절실해 졌고 대기업들은 다량의 소프트웨어 확보에 열을 올리기 시작했다. 단관 경영의 .. 2021. 11. 12. 한국영화의 태동과 발전 그리고 한국영화 열풍2(한국영화 70년대 이후의 경향) 지난 글에 이어서 한국영화의 시대적 발전 및 한국영화 열풍에 대해 작성해보겠다. 한국영화 70년대 이후의 경향 1. 1970년대(1970~1979) 70년대의 한국 영화계는 이전의 어느 시대보다도 침체되고 암울한 시기를 맞이 하게 되었다. TV의 전국적인 보급과 함께 유신 정국 하에서의 가혹한 검열로 인한 표현의 제한은 한국 영화를 불황 속에 내던졌으며 영화의 질적 하락을 초래하게 된 것이다. 1972년 들어선 유신 정부는 73년 2월 16일. 제4차 영화법 개정을 시행한다. 영화사 등록 여건을 한층 엄격하게 규정하여 은연중에 활동하던 개인 영화업자들의 움직임을 막아버렸으며, 1년에 4편의 한국영화를 제작하게 하는 의무 편수 조항을 적용했다. 물론 모든 영화는 유신 이념을 구현해야 했으며 초기 법령과 마.. 2021. 11. 12.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